• Skip to main content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Imaginary Conversation

Imaginary Conversation

Exploring the World Through Dialogue.

MBTI 한국어 상급편|인지 기능과 성격의 진짜 작동 원리 배우기

May 28, 2025 by Nick Sasaki Leave a Comment

MBTI-advanced-korea

RM:
안녕하세요, RM입니다.
こんにちは、RMです。

이번 MBTI 상급편에서는 단순한 유형 소개가 아니라,
今回のMBTI上級編では、ただのタイプ紹介ではなく、

성격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인지 기능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다뤄볼 거예요.
性格が「どう働いているか」を、認知機能を中心に深く掘り下げていきます。

Ni, Ne, Si, Se 같은 단어들, 처음 들으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죠.
Ni, Ne, Si, Seなどの言葉、最初は難しく感じるかもしれません。

하지만 그 안에는 여러분이 지금까지 이해하지 못했던
でもその中には、これまで理解できなかった

‘나’와 ‘타인’의 행동 이유가 고스란히 담겨 있어요.
「自分」や「他人」の行動の理由がそのまま詰まっているんです。

이번 여정은 논리와 감성, 그림자 기능과 성장까지
この旅では、論理と感性、シャドウ機能、そして成長まで、

정말 ‘진짜 나’를 마주하는 시간이 될 겁니다.
まさに「本当の自分」と向き合う時間になるでしょう。

저와 함께, 천천히, 깊이 들어가 보시겠어요?
僕と一緒に、ゆっくり、深く入り込んでみませんか?

(본 대화는 모두 가상의 내용이며, 실제 인물이나 발언과는 무관합니다.)
(本稿に記されている対話はすべて仮想のものであり、実在の人物・発言とは関係ありません。)


Table of Contents
Topic 1: 진짜 나를 아는 힘 — 자기인식과 MBTI
Topic 2: 감정과 사고 — 우리는 어떻게 느끼고 판단하는가
Topic 3: 스트레스와 회복 — 우리는 어떻게 버티고, 회복할까?
Topic 4: 내면의 성장 — MBTI로 보는 변화의 여정
Topic 5: 함께 살아가는 법 — MBTI로 보는 사회성
마무리 멘트

Topic 1: 진짜 나를 아는 힘 — 자기인식과 MBTI

(本当の自分を知る力 ― 自己認識とMBTI)

등장인물 (登場人物)

  1. 방탄소년단 RM(INFJ/リーダーで知的)

  2. 이수근(ESFP/バラエティで即興型)

  3. 김연아(ISFJ/ストイックで内向的)

  4. 백현 (EXO)(ENFP/感情表現が豊か)

  5. 장도연(ENTP/鋭い観察力とユーモア、学ぶのがゆっくり)

첫 번째 질문: “MBTI는 ‘진짜 나’를 얼마나 말해준다고 생각해요?”

(MBTIは「本当の自分」をどれだけ語ってくれると思いますか?)

RM(INFJ):
MBTI는 거울이에요. 내가 몰랐던 감정과 생각을 비춰줘요.
MBTIは鏡です。自分でも気づいていなかった感情や思考を映してくれます。

이수근(ESFP):
저는 그냥 '재밌는 테스트'인 줄 알았어요. 근데 의외로 맞는 게 많더라고요!
最初は「面白いテスト」だと思ってたけど、意外と当たってるところ多いんですよ!

김연아(ISFJ):
전 신중한 성격이라, MBTI도 반신반의했어요. 그런데 유형 설명이 저랑 너무 비슷했어요.
私は慎重な性格だから最初は半信半疑でした。でもタイプの説明が本当に自分に似てて驚きました。

장도연(ENTP):
에이~ 사람을 16가지로 나눌 수 있을까? 했는데, 읽다 보면 “어라?” 하고 무릎을 쳐요.
「人を16タイプで分けるって無理じゃん」って思ってたけど、読んでると「えっ、まさに私!?」ってなるのよ〜

백현(ENFP):
저는 MBTI 보고 ‘왜 나는 이렇게 행동했는지’ 처음으로 이해했어요. 감정이 정리되더라고요.
MBTIを見て「なぜ自分がこういう行動をとるのか」が初めてわかったんです。感情が整理されました。

두 번째 질문: “MBTI를 알기 전과 후, 자기 이해에서 가장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요?”

(MBTIを知る前と後で、自分への理解がどう変わったと思いますか?)

백현(ENFP):
예전엔 왜 감정 기복이 심한지 몰랐어요. 지금은 ‘나는 느끼는 사람이다’라는 걸 인정했죠.
昔はなんで感情の波が激しいのか分からなかったけど、今は「自分は感じるタイプなんだ」って認められた。

RM(INFJ):
전엔 자기 반성을 너무 깊이 했어요. MBTI를 통해 ‘생각하는 스타일’이란 걸 알게 됐죠.
以前は自己反省しすぎてたけど、MBTIで「考え込むタイプ」だとわかって、バランスが取れた。

김연아(ISFJ):
어릴 땐 왜 혼자 있는 게 편한지 몰랐어요. 지금은 그게 나의 에너지 회복법이라는 걸 알아요.
子どもの頃はなんでひとりが好きなのか分からなかったけど、今はそれが自分のエネルギー回復法ってわかる。

장도연(ENTP):
내가 말이 많고 정신없다는 걸 단점으로만 봤는데, MBTI에서 ‘가능성 탐색형’이라는 걸 보고 웃음이 났어요.
おしゃべりで落ち着きがないって思ってたけど、「可能性を探す型」って読んで笑っちゃった。

이수근(ESFP):
전 즉흥적인 게 단점인 줄 알았는데, 그게 재능이더라고요. 그날그날 다르게 사는 것도 괜찮대요!
即興的なのは短所だと思ってたけど、それが才能だって知りました。毎日違うのも悪くないって!

세 번째 질문: “MBTI를 삶에 어떻게 활용하고 있나요?”

(MBTIを日常生活でどう活かしていますか?)

김연아(ISFJ):
사람 많은 자리는 일정 시간만 있어요. 그 이후엔 혼자 쉬는 걸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어요.
人が多い場所には時間を決めて参加して、その後は一人で休むのが「当たり前」だって受け入れてます。

RM(INFJ):
팀 내 성향을 고려해서 대화 스타일을 바꿔요. Fe 위주인 멤버와는 감정부터, Ti 멤버에겐 구조적으로.
チーム内の性格に合わせて話し方を変えてます。Fe型には感情中心で、Ti型には構造的に。

이수근(ESFP):
콘텐츠 만들 때 ‘감각형’을 살려요. 지금 이 순간의 느낌을 바로 보여주는 게 좋아요.
コンテンツ作るときに「感覚タイプ」の力を使ってます。「今この瞬間」を見せるのがいいんです。

장도연(ENTP):
다른 사람과 충돌할 때, “아, 저 사람은 Si를 쓰는구나” 하고 한 발 물러나요.
人とぶつかりそうになったとき、「あ、この人はSi使ってるんだ」って一歩引くようにしてます。

백현(ENFP):
스케줄 짤 때 ‘계획 없는 나’를 인정했어요. 그 대신 아침마다 기분 체크를 하죠.
スケジュール組むときに「計画性のない自分」を認めて、代わりに朝に気分チェックするようにしました。

마무리 멘트 (Final Thoughts)

RM(INFJ):
MBTI는 자기 자신을 객관화할 수 있는 도구예요. 하지만 그 틀에 갇히면 안 돼요.
MBTIは自分を客観視するツール。でも、その枠に閉じ込めちゃいけない。

김연아(ISFJ):
이해는 힘이죠. 나를 이해하면, 남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理解は力です。自分を理解できれば、他人のことももっと理解できる。

이수근(ESFP):
테스트는 테스트고, 진짜 중요한 건 나답게 사는 거죠!
テストはテスト、本当に大事なのは「自分らしく生きる」ことです!

장도연(ENTP):
한 번 더 해보면 다른 결과 나올 수도 있어요. 그래도 “아, 이게 나구나” 하는 느낌이 남아요.
何回やっても結果が変わるかも。でも「これが私だな」って感覚は残るんですよ。

백현(ENFP):
MBTI는 나를 꾸짖는 게 아니라 안아주는 거예요.
MBTIは自分を責める道具じゃなくて、抱きしめるためのものだよ。

Topic 2: 감정과 사고 — 우리는 어떻게 느끼고 판단하는가

(感情と思考 ― 私たちはどう感じてどう判断しているのか)

첫 번째 질문: “나는 감정으로 결정할까, 생각으로 결정할까?”
(自分は感情で決める人?それとも思考で決める人?)

이수근(ESFP):
저는 무조건 감정이에요. 느낌이 안 좋으면 그냥 안 해요.
僕は絶対に感情です。気分が乗らなければやりません。

김연아(ISFJ):
감정도 보지만, 결과를 먼저 생각해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 다르게 판단해요.
感情も見ますが、結果を先に考えます。だから状況によって判断が変わります。

RM(INFJ):
제 안에는 두 세계가 있어요. 마음이 앞설 때도 있고, 논리가 이끌 때도 있어요.
僕の中には2つの世界があります。心が先に動く時もあるし、論理が先に来る時もある。

백현(ENFP):
처음엔 감정으로 시작해요. 근데 결국 “이게 맞아?” 하고 스스로 따져봐요.
最初は感情で動きます。でも最後には「これで正しい?」と自問自答します。

장도연(ENTP):
논리요! 근데 그 논리가 내 감정에 맞아야 움직여요. 그게 나만의 기준이에요.
論理です!でもその論理が自分の感情と一致しないと動けません。それが私の基準。

두 번째 질문: “감정형(F)과 사고형(T)은 어떻게 갈등을 풀까요?”
(感情型と思考型って、どうやってケンカを解決するの?)

RM(INFJ):
F는 “내 마음을 이해해줘”고, T는 “그게 합리적이야?”예요. 이걸 서로 알면 훨씬 나아져요.
Fは「私の気持ちをわかって」で、Tは「それって合理的?」です。それをお互い知るだけで全然違います。

김연아(ISFJ):
감정형은 미안하다는 말을 먼저 듣고 싶어요. 사고형은 이유부터 설명하잖아요.
Fは「ごめんね」が先に欲しいけど、Tはまず理由を話しますよね。

장도연(ENTP):
전엔 F 친구한테 “왜 그렇게 예민해?”라고 했다가 싸웠어요. 지금은 그냥 듣는 연습 중이에요.
前にFの友達に「なんでそんなに敏感なの?」って言ってケンカしました。今はただ聞く練習してます。

이수근(ESFP):
저는 무조건 웃음으로 풀어요. “밥 먹자~” 하면서 다 잊자고 해요.
僕はとにかく笑わせて解決します。「ごはん行こ~」って言って全部忘れさせます。

백현(ENFP):
감정형은 ‘공감’ 한 마디면 풀려요. T형이 그걸 몰라서 오래 가는 거죠.
F型は「わかるよ」の一言で和らぎます。でもT型はそれを知らないから長引くんです。

세 번째 질문: “나와 다른 판단방식을 가진 사람을 존중하려면?”
(自分と違う判断タイプの人をどうやって尊重すればいいの?)

백현(ENFP):
F는 감정이 진심이라는 걸 알아줘야 해요. 기분 나쁜 게 아니라 ‘진심’이에요.
Fは感情が本気ってことを分かってほしいんです。怒ってるわけじゃなくて「本気」なんです。

RM(INFJ):
T는 감정 무시하는 게 아니에요. 그냥 마음을 다르게 표현할 뿐이에요.
Tは感情を無視してるんじゃなくて、ただ表現方法が違うだけなんです。

이수근(ESFP):
서로 다르다는 걸 알면 싸움이 아니라 대화가 돼요. “아~ 저 사람은 다르게 느끼는구나”
違うって知ってれば、ケンカじゃなくて会話になるんです。「あ〜あの人はそう感じるのか」って。

김연아(ISFJ):
존중은 기다림인 것 같아요. 내 방식이 빠르다고 해서 상대도 그렇진 않으니까요.
尊重って「待つこと」だと思います。自分のやり方が早いからって、相手もそうとは限らない。

장도연(ENTP):
T든 F든, 다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어요. MBTI는 그냥 나침반일 뿐이에요.
TでもFでも、誰でも「いい人」になれます。MBTIはただのコンパスです。

RM(INFJ):
감정과 사고는 대립이 아니라 서로의 거울이에요. 한쪽만 보면, 나머지 절반의 나를 놓치게 되죠.
感情と論理は対立じゃなくて「鏡」です。片方だけ見てたら、自分のもう半分を見失ってしまう。

김연아(ISFJ):
조용한 감정도, 차가운 사고도 모두 소중해요. 중요한 건 그걸 어떻게 나누느냐예요.
静かな感情も、冷静な思考もどちらも大切。大事なのは、それをどう分かち合うかです。

이수근(ESFP):
생각 많은 사람도, 감정 많은 사람도… 결국 행복하려고 그러는 거잖아요?
たくさん考える人も、たくさん感じる人も…結局みんな「幸せになりたいだけ」なんですよね?

장도연(ENTP):
서로의 스타일을 ‘틀림’이 아니라 ‘다름’으로 보면, 진짜 대화가 시작돼요.
相手のスタイルを「間違い」じゃなく「違い」として見れば、本当の会話が始まるんです。

백현(ENFP):
나는 F인데, T 친구도 좋아요. 서로 다르니까 더 재밌는 거죠.
僕はFだけど、Tの友達も大好きです。違うからこそ、楽しいんですよ。

Topic 3: 스트레스와 회복 — 우리는 어떻게 버티고, 회복할까?

(ストレスと回復 ― 私たちはどう耐えて、どう癒やすのか)

첫 번째 질문: “나는 어떤 상황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을까?”
(自分が一番ストレスを感じるのはどんな時?)

장도연(ENTP):
답답하고 정해진 규칙에 갇혀 있을 때요. “그렇게 해야만 한다”는 말, 진짜 싫어요.
息が詰まるようなルールに縛られてるときです。「こうしなきゃ」って言われるのが本当に嫌。

이수근(ESFP):
내가 웃고 있는데 분위기가 너무 진지하면… 그때 진짜 힘들어요.
僕がふざけてるときに、まわりが真面目すぎると…それがすごくきつい。

RM(INFJ):
의미 없는 일에 시간 쓸 때요. ‘왜 이걸 하고 있지?’ 싶을 때 마음이 무너져요.
意味のないことに時間を使ってると感じたとき。「なんでこれやってるんだ?」と思うと心が折れます。

김연아(ISFJ):
계획대로 안 될 때요. 노력했는데 예상치 못한 일이 생기면 자책하게 돼요.
計画通りにいかないときです。頑張ったのに想定外のことが起きると自分を責めてしまう。

백현(ENFP):
사람들이 진심을 몰라줄 때요. 내가 진짜 마음으로 다가가는데, 그게 안 통하면 너무 속상해요.
みんなが僕の本気をわかってくれないとき。本気で接してるのに通じないとすごくつらい。

두 번째 질문: “그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해요?”
(そのストレス、どうやって解消してる?)

RM(INFJ):
혼자만의 공간이 필요해요. 음악 들으면서 생각 정리해요.
ひとりになれる空間が必要です。音楽を聴きながら心を整えます。

이수근(ESFP):
친구들이랑 웃는 게 최고예요. 웃음은 진짜 약이에요.
友達と笑うのが最高。笑いは本当に薬です。

김연아(ISFJ):
작은 일이라도 끝내는 거요. 설거지 같은 걸 해내면 마음이 안정돼요.
小さなことでも終わらせること。皿洗いでも済ませると心が落ち着きます。

장도연(ENTP):
완전 딴 생각하는 콘텐츠를 봐요. 내 뇌를 잠시 다른 세계로 보내는 거죠.
全然違うことを考えるコンテンツを見ます。脳を別世界に飛ばす感じ。

백현(ENFP):
일기를 써요. 마음속 이야기를 꺼내 놓으면 한결 가벼워져요.
日記を書きます。心の中を出すとすごく軽くなります。

세 번째 질문: “타인의 스트레스를 도울 때, 내가 조심하는 점은?”
(他人のストレスを助けるとき、気をつけていることは?)

김연아(ISFJ):
무조건 먼저 들어줘요. 조언은 나중 문제예요.
まずは無条件に話を聞きます。アドバイスは後でいいんです。

장도연(ENTP):
내 방식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아요. 그 사람의 ‘리듬’을 존중하려 해요.
自分のやり方で解決しようとしません。その人の「リズム」を大事にします。

백현(ENFP):
“괜찮아”보다는 “그랬구나”를 먼저 말해요.
「大丈夫」より「そうだったんだね」って先に言います。

RM(INFJ):
그 사람이 혼자만의 공간이 필요하면, 말없이 곁에 있어줘요.
その人が一人の時間を求めてたら、何も言わずにそばにいます。

이수근(ESFP):
먼저 가볍게 웃기고 분위기를 풀어요. 그 다음 진지한 얘기도 잘 들어줘요.
まず軽く笑わせて場を和ませて、そのあとちゃんと話を聞きます。

마무리 멘트 (Final Thoughts)

(まとめの言葉)

김연아(ISFJ):
스트레스는 나쁜 게 아니에요. 나를 돌보라는 신호 같아요.
ストレスは悪いものじゃない。「自分を大事にしてね」っていうサインです。

RM(INFJ):
우리가 서로의 스트레스 방식을 알면, 상처가 아니라 이해가 생겨요.
お互いのストレスパターンを知ってたら、傷つくんじゃなくて理解が生まれる。

장도연(ENTP):
다 다르니까, 서로의 ‘회복법’을 존중해야죠.
みんな違うからこそ、それぞれの「回復の仕方」を大切にしたいですね。

백현(ENFP):
스트레스를 못 느끼는 게 아니라, 잘 푸는 사람이 멋진 거예요.
ストレスを感じない人じゃなくて、うまく解消できる人がカッコいいんです。

이수근(ESFP):
결국은 ‘같이 웃을 수 있는 힘’이 회복의 시작 아닐까요?
結局、「一緒に笑える力」が回復の始まりじゃないかな?

Topic 4: 내면의 성장 — MBTI로 보는 변화의 여정

(内面の成長 ― MBTIから見る変化の旅)

첫 번째 질문: “예전의 나는 어땠고, 지금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昔の自分と今の自分、どう変わった?)

백현(ENFP):
예전엔 무조건 사람들한테 잘 보이려고 했어요. 지금은 내가 먼저 행복해야겠다는 생각을 해요.
昔はとにかく人に好かれようとしてた。でも今はまず自分が幸せじゃないとって思ってます。

김연아(ISFJ):
모든 걸 계획대로 하려다 지쳤어요. 지금은 변화도 내 삶의 일부라고 인정해요.
全部計画通りにしようとして疲れてました。今は変化も人生の一部だって思えるようになりました。

장도연(ENTP):
예전엔 의견을 강하게 밀어붙였는데, 요즘은 듣는 연습을 많이 해요.
昔は意見を強く押し通してたけど、最近は「聴く練習」をすごくしてます。

RM(INFJ):
내 마음을 말하는 게 어려웠어요. 지금은 천천히, 조심스럽게라도 표현하려고 해요.
自分の気持ちを言葉にするのが難しかった。でも今は、ゆっくりでもちゃんと表そうとしてます。

이수근(ESFP):
예전엔 매일 재밌는 일만 찾았어요. 지금은 의미 있는 일도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됐죠.
前は毎日楽しいことだけを探してた。今は「意味のあること」も大事って気づいたんです。

두 번째 질문: “그 변화에 MBTI가 어떤 도움을 줬나요?”
(その変化にMBTIはどんな助けになった?)

RM(INFJ):
나를 분석하지 않고, ‘그대로의 나’를 인정할 수 있었어요.
自分を分析せずに「そのままの自分」を受け入れることができました。

이수근(ESFP):
“내가 왜 이럴까?”에 대한 힌트를 줬어요. 그래서 불안이 줄었어요.
「自分ってなんでこうなんだろう?」って思ってたことにヒントをくれた。不安が減りました。

김연아(ISFJ):
계획을 세우지 않아도 괜찮은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計画を立てない人もいていいんだって知れたんです。

장도연(ENTP):
내가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는구나 싶었어요. 그래서 단순함을 연습했죠.
自分が考えすぎるタイプなんだって気づいて、だから「シンプルさ」を練習しました。

백현(ENFP):
“느낌대로 산다”는 게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걸 알고 안심했어요.
「直感で生きる」って自分だけじゃないってわかって、安心できました。

세 번째 질문: “앞으로 어떤 성장을 하고 싶나요?”
(これからどんな成長をしたい?)

김연아(ISFJ):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걸 몸으로 느끼고 싶어요.
完璧じゃなくてもいいって、心じゃなく体で実感したいです。

백현(ENFP):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言葉より行動で見せられる人になりたいです。

RM(INFJ):
내 생각을 말로 잘 풀어내는 법을 더 배우고 싶어요.
自分の考えをもっと「言葉」にできるようになりたい。

이수근(ESFP):
마음이 힘들어도, 유쾌함을 잃지 않는 그런 어른이 되고 싶어요.
心がつらくても、明るさを忘れない大人になりたいですね。

장도연(ENTP):
다른 사람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他人をもっと深く理解できる人間になりたいです。

(まとめの言葉)

RM(INFJ):
성장은 큰 변화보다, 작은 ‘나를 아는 순간’에서 시작되는 것 같아요.
成長は大きな変化じゃなくて、「自分を知る小さな瞬間」から始まる気がします。

김연아(ISFJ):
매일 조금씩 바뀌는 내가, 사실은 진짜 나였던 것 같아요.
毎日少しずつ変わっていく自分こそ、本当の自分だった気がします。

장도연(ENTP):
실패도 성장의 일부예요. 넘어질 때도, 그냥 그 순간을 느껴봐요.
失敗も成長の一部です。転んだときは、その瞬間をちゃんと味わいましょう。

백현(ENFP):
성장은 거창한 게 아니에요. 오늘 하루 잘 살았으면, 그게 성장이죠.
成長って大げさなことじゃない。今日一日をちゃんと生きたら、それだけで十分成長です。

이수근(ESFP):
가끔은 돌아가는 것도 괜찮아요. 그게 내 리듬이라면요.
たまには回り道してもいい。それが自分のリズムならね。

Topic 5: 함께 살아가는 법 — MBTI로 보는 사회성

(共に生きる力 ― MBTIから見るソーシャルスキル)

첫 번째 질문: “사람들과 잘 지내기 위해, 내가 노력하는 점은?”
(人と仲良くやるために、どんな努力をしてる?)

김연아(ISFJ):
상대가 말할 때는 중간에 끼어들지 않으려 해요. 들으려고 노력해요.
相手が話してるときは途中で割り込まないようにして、ちゃんと聴くように努力してます。

백현(ENFP):
상대의 리액션을 잘 봐요. 너무 들이대면 싫어할까 봐 조심해요.
相手の反応をよく見ます。あまりぐいぐい行くと嫌がるかもって、気をつけてます。

RM(INFJ):
상대가 편해지도록 말투와 속도를 맞춰요. 나 혼자만 빠르면 안 되니까요.
相手が安心できるように、話し方やスピードを合わせます。一人だけ早く進んじゃダメですからね。

장도연(ENTP):
내가 너무 말이 많을까 봐, 중간중간 ‘괜찮아?’ 물어보게 됐어요.
自分がしゃべりすぎてないか気になって、時々「大丈夫?」って聞くようになりました。

이수근(ESFP):
눈 마주치고, 먼저 웃어줘요. 그게 사람 사이의 벽을 없애는 첫걸음 같아요.
目を合わせて、先に笑ってあげる。人との壁をなくす最初の一歩だと思うんです。

두 번째 질문: “MBTI를 통해, 사람들과 더 잘 소통할 수 있었던 적이 있나요?”
(MBTIを通して、人とうまくコミュニケーションできた経験はある?)

백현(ENFP):
ISTJ 친구랑 자주 싸웠는데, 그 친구는 계획을 중시한다는 걸 알게 되고부터 이해가 됐어요.
ISTJの友達とよくケンカしてたけど、その子が計画重視タイプって知ってから、理解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

장도연(ENTP):
내 농담을 안 받아주는 사람을 보며 ‘왜 저래?’ 했는데… 그 사람은 S성향이더라고요.
冗談が通じない人に「なんで?」って思ってたけど…その人、S(感覚)タイプだったんです。

RM(INFJ):
외향적인 친구랑 있을 때, 내가 말이 없다고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걸 알게 됐어요.
外交的な友達といるとき、話さない自分でも気にしなくていいって思えました。

이수근(ESFP):
INTP 친구가 대화 중간에 조용해져도, ‘그 친구만의 리듬’이라는 걸 알게 되었죠.
INTPの友達が会話中に黙ってても、それが「その子のペース」なんだってわかりました。

김연아(ISFJ):
내가 너무 돌려 말한다고 지적받은 적 있는데, MBTI 보고 ‘감성 타입이 그럴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遠回しすぎ」って言われたことあったけど、MBTIで「感情タイプにはよくある」って知ってホッとしました。

세 번째 질문: “다른 사람과 성향이 달라도, 어떻게 조화를 이루면 좋을까요?”
(性格が違う人と、どうやってうまくやっていけばいいと思う?)

RM(INFJ):
먼저 ‘이해하려는 마음’을 가져야 해요. 다름을 바꾸려 하기 전에요.
まず「理解したい気持ち」を持つこと。それが「変えようとする前」に大事です。

이수근(ESFP):
가볍게 먼저 다가가고, 반응을 보고 천천히 맞춰가요.
軽く近づいて、相手の反応を見ながらゆっくり合わせていきます。

장도연(ENTP):
‘이건 그냥 그 사람 스타일’이라고 생각하면, 훨씬 마음이 편해져요.
「これはその人のスタイルだ」って思えば、心がすごく楽になります。

김연아(ISFJ):
나랑 다른 속도를 가진 사람도, 그 나름의 깊이가 있더라고요.
自分と違うペースの人にも、その人なりの「深さ」があるってわかったんです。

백현(ENFP):
맞추려 하기보다, 서로의 다름을 ‘재밌다’고 느끼면 진짜 친해져요.
無理に合わせるんじゃなくて、違いを「面白い」って思えたら、もっと仲良くなれると思います。

RM(INFJ):
모든 MBTI는 다름의 언어예요. 그래서 우리는 더 연결될 수 있어요.
MBTIは違いの「言語」。だからこそ、もっとつながれるんです。

김연아(ISFJ):
다름을 이해하려는 순간, 관계는 깊어져요.
違いを理解しようとした瞬間、人間関係はもっと深くなります。

이수근(ESFP):
잘 맞는 사람보다, 다른 사람과 웃을 수 있는 능력이 멋져요.
気が合う人よりも、違う人とも笑える力がステキです。

장도연(ENTP):
MBTI는 사람을 틀에 가두는 게 아니라, 서로를 껴안게 해줘요.
MBTIは人を枠にはめるものじゃなくて、お互いを包み込むためのものです。

백현(ENFP):
결국 MBTI는 ‘나도, 너도 괜찮아’라고 말해주는 거예요.
結局MBTIは「僕も、君も大丈夫だよ」って言ってくれる存在です。

마무리 멘트

RM:
지금까지 함께한 여러분,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ここまで一緒に来てくれた皆さん、本当にお疲れさまでした。

MBTI 상급편을 통해 느낀 게 있다면,
このMBTI上級編を通して感じたのは、

우리가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동시에 훨씬 아름답다는 점이에요.
僕たちは思っている以上に複雑で、でもそのぶん本当に美しいということです。

인지 기능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認知機能はただの理論ではなく、

우리가 사람을 이해하고 성장하는 데 필요한 도구입니다.
人を理解し、成長するための道具なんです。

내 안의 그림자도, 상대의 다름도
自分の中のシャドウも、他人の違いも、

결국은 포용할 수 있는 내가 되는 것,
最終的にすべてを受け入れられる「自分」になることが、

MBTI가 지향하는 진짜 성장이라고 믿어요.
MBTIが目指している「本当の成長」だと僕は信じています。

함께 공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一緒に学んでくださっ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여러분, 지금 이 모습 그대로도 충분히 멋진 사람입니다.
皆さん、今のそのままでも十分に素晴らしい人です。

그리고 더 나아가려는 마음, 그게 진짜 아름다움이에요.
そして、もっと良くなろうという気持ち、それが本当の美しさです。

고맙습니다.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Short Bios:

방탄소년단 RM(INFJ)

KR: 지적이고 철학적인 BTS의 리더. 깊이 있는 사고와 자기 성찰로 MBTI의 인지 기능에 대한 이해가 뛰어남.
JP: 知的で哲学的なBTSのリーダー。深い思考と自己内省によってMBTIの認知機能をよく理解している。

이수근(ESFP)

KR: 현장에서의 임기응변에 강한 국민 예능인. 즉흥적이면서도 사람들과의 분위기를 유쾌하게 이끄는 재능이 탁월함.
JP: 即興性に優れた国民的バラエティタレント。場の空気を読みながら楽しい雰囲気をつくる能力に長けている。

김연아(ISFJ)

KR: 철저한 자기관리와 성실함으로 사랑받는 전 피겨스케이팅 선수. 내향적이지만 헌신적이며 조용한 리더십을 지님.
JP: 厳しい自己管理と誠実さで愛された元フィギュアスケート選手。内向的だが献身的で、静かなリーダーシップを発揮する。

백현(ENFP)

KR: 풍부한 감정 표현과 자유로운 사고를 가진 EXO 멤버. 유쾌하고 창의적인 에너지로 MBTI의 다양한 측면을 재미있게 풀어냄.
JP: 感情豊かで自由な思考を持つEXOのメンバー。明るく創造的なエネルギーでMBTIの多様な側面を楽しく伝える。

장도연(ENTP/느리게 배우는 역할)

KR: 날카로운 관찰력과 유머 감각을 가진 개그우먼. 이해에 시간이 걸리지만 질문과 반응으로 오히려 대화를 풍부하게 만듦.
JP: 鋭い観察力とユーモアを持つコメディアン。理解に少し時間がかかるが、その質問や反応がむしろ会話を深める役割を担っている。

Filed Under: MBTI Tagged With: MBTI 고급 강의, MBTI 고급 대화, MBTI 고급 이해, MBTI 고차원 사고, MBTI 내면 분석, MBTI 리더십, MBTI 발전, MBTI 발전 과정, MBTI 상급, MBTI 상담 활용, MBTI 성숙, MBTI 성장 모델, MBTI 인지 기능, MBTI 자기개발, MBTI 자기이해, MBTI 코칭, MBTI 한국 콘텐츠, 성격 구조 이해, 성격 심층 분석, 인지 기능 Ni Ne Si Se Te Ti Fe Fi

Reader Interactions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Primary Sidebar

  • クレイグ・ハミルトン直観瞑想|人生を変える覚醒の対話
  • もし日本が鎖国を続けていたら?歴史の分岐点を語る
  • MBTI-advanced-koreaMBTI 한국어 상급편|인지 기능과 성격의 진짜 작동 원리 배우기
  • MBTI 한국어 중급편|다름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성장의 시간
  • MBTI 한국어 초급편|아이들도 즐겁게 배우는 성격 히어로!
  • MBTIで自分らしさ発見!性格ヒーロー図鑑
  • MBTI中級編:性格の深層を会話で学ぶ5つのレッスン
  • MBTI上級編:性格を超えて人生と関係性を深く学ぶ対話集
  • カツオくんと斎藤一人:言葉が家族を変えた奇跡の春
  • クレヨンしんちゃんが描く2025年の韓国社会あるある5つの物語
  • MBTI로 보는 아는 형님 5교시 특집 – 웃음과 통찰의 수업
  • TWICEが語るMBTI:性格タイプで本音トーク
  • 慰安婦問題の核心を問う:日韓の専門家による対話シリーズ
  • 《梅は知っていた》—慰安婦として生きた少女の真実
  • 《매화는 알고 있다》– 위안부로 살아남은 소녀의 침묵과 증언
  • 《위안부 가해자의 고백》– 벚꽃 아래 무너진 일본 병사의 양심
  • 《桜は知らなかった》―若き日本兵の沈黙と罪の記憶
  • SNSで信頼を売る時代:1億円ブランドの作り方とは?
  • 神に愛される人になる5つの方法
  • 魂のための癒しの対話 ― 영혼을 위한 치유의 대화
  • 天国で語る魂の対話:별빛 정원에서 펼쳐진 영혼의 대화
  • ツヤ・笑顔・明るさが運命を守る!斎藤一人の波動の極意
  • もしモーツァルトと対話したら──自由とバカバカしさ、そして生きる歓び
  • ココ・シャネルと自由への対話:ハイヤーセルフに導かれて
  • 東北一周 Day3|岩手モデルコースで「ありがとう」を感じる旅
  • 東北一周 Day2|松島モデルコースで「ついてる」奇跡を体験する旅
  • 東北一周・Day1|仙台モデルコースで「愛しています」を巡る旅
  • AIが描いた斉藤1人と一緒に行くツイてる旅行 | 北海道編 Day 1
  • AIが描いた斉藤1人と一緒に行くツイてる旅行 | 北海道編 Day 2
  • AIが描いた斉藤1人と一緒に行くツイてる旅行 | 北海道編 Day 3

Footer

Recent Posts

  • クレイグ・ハミルトン直観瞑想|人生を変える覚醒の対話 June 5, 2025
  • もし日本が鎖国を続けていたら?歴史の分岐点を語る May 31, 2025
  • MBTI 한국어 상급편|인지 기능과 성격의 진짜 작동 원리 배우기 May 28, 2025
  • MBTI 한국어 중급편|다름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성장의 시간 May 28, 2025
  • MBTI 한국어 초급편|아이들도 즐겁게 배우는 성격 히어로! May 27, 2025
  • MBTIで自分らしさ発見!性格ヒーロー図鑑 May 27, 2025

Pages

  • About Us
  • Contact Us
  • Earnings Disclaimer
  • Privacy Policy
  • Terms of Service

Categories

Copyright © 2025 ImaginaryConversation.com